BackEnd/Database
-
HAVINGBackEnd/Database 2022. 4. 7. 12:59
HAVING은 WHERE와 비슷한 개념으로 조건을 제한하는 것이지만, 집계 함수에 대해서 제한적인 조건으로 사용하는 것이다. HAVING은 꼭 GROUP BY 다음에 나와야 한다. SELECT userID AS '사용자', SUM(price*amount) AS '총구매액' FROM buytbl GROUP BY userID HAVING SUM(price*amount) > 1000 -- 총 구매액이 적은 사용자부터 나타내려면 ORDER BY를 사용하면 된다. ORDER BY SUM(price*amount);
-
집계 함수BackEnd/Database 2022. 4. 7. 12:44
SUM() 함수 외에도 GROUP BY를 활용해 자주 사용되는 함수로 집계 함수(또는 집합함수)가 있다. -- 전체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의 개수(amount)의 평균을 구해보자. USE sqldb; SELECT AVG(amount) AS '평균 구매 개수' FROM buytbl; 평균 구매 개수의 결과가 2.9167개가 나왔다. -- 각 사용자 별로 한 번 구매 시 물건의 평균 몇 개 구매했는지 평균을 내보자. use sqldb; SELECT userID, AVG(amount) AS '평균 구매 개수' FROM buytbl GROUP BY userID; -- usertbl의 height에서 usertbl에 가장 큰키 또는 가장 작은키를 가진 데이터를 name, height를 출력하기 -- 이런 경우에는 ..
-
GROUP BYBackEnd/Database 2022. 4. 7. 12:03
이 절은 그룹을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. -- sqldb에서 구매한 buytbl에서 userID가 구매한 물품의 개수(amount)를 보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USE sqldb; SELECT userID, amount FROM buytbl ORDER BY userID; -- userID 별로 GROUP BY로 묶어준 후에 SUM() 함수로 구매 개수(amount)를 합치면 된다. -- BBK, EJW, KBS라는 중복된 userID를 합쳐서 출력해준다. USE sqldb; SELECT userID, SUM(amount) FROM buytbl GROUP BY userID; -- 이를 조금 더 쉽게 알아보기 위해 AS를 사용한다. -- AS ' ' 는 별명을 붙이는 것이다. USE sqldb; SELEC..
-
SQL의 분류BackEnd/Database 2022. 4. 1. 10:39
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, 데이터 조작 언어) 데이터를 조작(선택, 삽입, 수정, 삭제)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DML 구문이 사용되는 대상은 테이블의 행 DML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블이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. SQL문 중 SELECT, INSERT, UPDATE, DELETE가 이 구문에 해당된다. 트랙잭션(Transaction)이 발생하는 SQL도 이 DML에 속한다. 테이블 데이터를 변경(입력, 수정, 삭제)할때 실제 테이블에 완전히 적용하지 않고 임시로 적용시키는 것 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 데이터 정의 언어 테이터베이스, 테이블. 뷰, 인덱스 등의 데이터베이스 개체를 생성, 삭제, 변경하는 역할 되돌림이나 완전적용 사용 불가 실행 즉..
-
데이터 베이스의 모델링BackEnd/Database 2022. 3. 31. 12:29
프로젝트(Project) 현실세계의 업무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옮겨놓은 일련의 과정 대규모의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전체 과정 분석과 설계 작업 등한시 -> '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'의 대두 폭포수 모델 - 개발의 흐름을 마치 폭포수처럼 지속적으로 아래로 향하는 것처럼 보이는 데서 붙여졌다. 장점 - 단계가 명확히 구분되어 프로젝트 진행이 명확합니다. 단점 - 단계를 다시 거슬러 올라가기 어렵다. 즉, 문제가 발생하면 앞 단계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어렵다. V 모델 - 폭포수 모델의 확장된 형태로 테스트 활동을 코딩 이후가 아닌 프로젝트 시작시 함께 시작한다. 장점 - 세세한 테스팅을 통해 모든 단계마다 검증작업이 있어 오류를 줄일 수 있다. 단점 - 반복이 없기 때문에 변경사항을 다루기 어렵다. 또한..
-
요구사항 분석과 시스템 설계, 모델링BackEnd/Database 2022. 3. 25. 13:06
정보시스템 구축 절차 요약 분석, 설계, 구현, 시험, 유지보수의 5가지 단계 분석 구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가장 첫번째 단계 시스템 분석 또는 요구사항분석이라고 불림 요구사항 분석은 현재 우리가 '무엇을' 할 것인지 결정 사용자의 인터뷰와 업무 조사 등을 수행 분석의 결과로 많은 문서 작성 설계 시스템 설계 또는 프로그램 설계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'어떻게' 할 것인지 결정 대부분 프로젝트에서 분석과 설계의 과정이 전체 공정의 50% 이상 차지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현실세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MySQL에 어떻게 옮겨 놓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 저장할 정보는 테이블(Table)이라는 형식에 맞춰 저장 데이터베이스 필수 용어 데이터 - 하나하나의 단편적인 정보 테이블 - 표 형태로 표현한 것 데이..
-
DatabaseBackEnd/Database 2022. 3. 24. 11:20
Database의 정의 데이터의 집합 여러 명의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이 공유하는 데이터들 동시에 접근이 가능 데이터의 저장 공간 자체 데이터베이스의 발전 오프라인 관리 - 종이에 연필로 기록해 장부로 관리 파일시스템 사용 - 컴퓨터 파일에 기록/저장(메모장, 엑셀 활용) DBMS(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, DataBaseManagementSystem)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, 운영하는 역할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들을 의미 계층형 (Hierarchical Database) DBMS - 처음으로 나온 DBMS 개념 - 1960년대에 시작 - 각 계층은 트리Tree 형태, 1:N 관계 - 문제점 처음 구축한 이후 그 구조를 변경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움 주어진 상태에서의 검색은 상당..